Mobile Augmented Reality (KT경제연구소 세미나)
View more presentations from Albert Heekwan Kim.
요즘 뜨고 있는 증강현실(Augmented Reality)입니다.
- 정의
- 증강=올린다
- 현실과 가상의 합성
- 실시간 상호작용
- 3D 컨텐츠
- 디지털 정보의 직관적 가시화
- 컴퓨터를 통해 리얼월드를 보고 실세계에서 보이지 않는 정보를 보여주는 합성하는(영상처리) 기술
- 종류
- 마커를 이용한 증강현실
- GPS를 이용한 증강현실
- Desktop AR
- 장점 – 복잡한3D 그래픽 – 마커리스로 진화
- 단점-고정되어 있다 – 사용자-가상객체의 시선 불일치
- 모바일 AR
- 장점-
- 모바일환경-시장성!<모바일 탑재가능한 증강현실 플랫폼 필요>
- 유비쿼터스
- 다양한 응용
- 단점
- 마커사용 불가피
- 범용 프로세서의 한계
- 전력의 한계
- 장점-
- 기술
- 추적기술(센서,영상 기반) GPS,
- 지자기센서(디지털 콤파스)
- 영상입력(모바일 카메라)
- 표시기술
- 영상
- 소리-런던의 Abbey Road를 가면 비틀즈의 음악이 나온다던가..
- Case Study – 컨텐츠-스토리를 이용한 잠깐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어플
- 허클베리핀의 모험
- 아이폰 측량자
- 방송위성 궤적, 궤도 파악
- 밤하늘의 별자리와 정보
- 근처의 커피숍, 근처의 화장실, 근처의 지하철역
- 파급효과
- 광고 비즈니스 (아파트 현지 시세)
- 헬스케어
- 공간의 새로운 인식(그냥 무의미한 공간- 여러가지 사연과 정보들이 있는 공간)
- 역사적정보, 경제적정보, 정치적정보, 문화적정보 가 공간에 축척될것이다
- 관계형성(사람의 얼굴인식, -트위터정보, 전화번호 등)
- 지식의 변화 (물리적인 인지 대상 스스로가 지식을 명시적으로 제공
- 비즈니스
- 요위치기반
- 엔터테인먼트
- 광고
- 커뮤니케이션- 위치기반SNS
- 영상검색
- Issue
- 5분이내의 단순명료함을 유지 하는게 중요
- 스토리텔링 기법 사용으로 고객 유치
- 인문학적 소양 필수 – (인문학적으로 접근한다)
- 개발자 단순한 콘텐츠 저작툴 개발의 필요성
- 굉장히 큰 이것도되고 저것도되고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은 시장성이 없을 수 있음
- 공공 데이터 메쉬업 지원 필요
출처 Olleh KT 블로그
No comment yet